Git hub

·Git hub
내가 보기 위한 깃 명령어 정리 git init - 깃 생성 git status - 코드의 변경은 있지만 저장을 하지 않은 파일은 다음과 같이 표시가 됩니다. (modified: index.html) git add - 전부 다 하기 위해선 git add . git log - 커밋 내용 확인 git pull origin - 최신 코드 당겨받기 git branch - 해당 브랜치에서 새로운 브랜치 생성 git branch - 현재 브랜치들을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 - 빠져나오기 위해선 q 명령어 사용 git switch - 브랜치 이동 - 다른 방법으론 git checkout // -c 는 create의 약자입니다. git switch -c feature/login // -b는 branch의 약자입니다. g..
·Git hub
팀프로젝트를 하면서 실수로 .env 파일을 올려버렸다. .gitignore에 포함 된건 .env.local만 되있어서 실수를 하게 되었다. 그런데 조사하다보니 .gitignore에 .env를 추가해도 가끔 .env가 올라가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결과적으론 고쳤지만 자세히 알아보다니 만약 제대로 포함 했어도 업로드하는데 문제 생길 수 있겠구나 싶어 좀 더 자세히 알아보았다. 1. 깃 명령어로 .env 삭제 후 푸시 git rm .env --cached git add . git commit -m "remove .env file from git" git push env 관련 캐쉬 등 파일들을 삭제하고 푸시한다. 하지만 난 해결이 안되서 2번으로 넘어갔다 2. .env git history로 과거 기록들 삭제..
·Git hub
1. 윈도우 + R을 누른 후 cmd 검색 후 프롬프트창 열기 2. cd로 자기 컴퓨터(Local) 폴더로 이동 3. git init 입력 Initialized empty Git repository in [주소] 또는 Reinitialized existing Git repository in [주소] 라고 나오면 성공 4. 인터넷에서 자신의 깃허브 주소로 이동 후 'create a new repository' 5. name 설정 후 'Create repository' 누르기 6. cmd 창으로 돌아와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계정이름]/[레포지토리이름].git 입력 7. 연결 완료
흑인간쥐
'Git hub'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