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TIL
css module에선 className이 2개 이상이 되거나, 조건부를 주기 위해서 복잡하거나 힘든 경우가 있다. clsx 라이브러리로 해결 가능 설치 npm install --save clsx yar add clsx 사용 방법 복수 className clsx를 사용하면 복수 클래스를 기존 html에 주듯이 쉽게 줄 수 있다. // -가 들어간 클래스는 해당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조건 부 className 조건부로 className을 줘야할때 적용하는 법이다. 방법은 간단하다. 괄호 안에 스타일명을 주고, 조건을 넣어주면 된다
·TIL
개요 입력폼 map 돌리는걸 생각 못하고 일단은 input값을 추가할때마다 span 태그로 감싸진 리스트에 추가하게끔 했다. 하지만 이 기능은 추가 버튼을 눌러야만 추가가 되다보니 입력만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생겼다. 그래서 UX적으로 여러개의 input값을 받을 수 있게끔 변환 작업을 했다. 1. input 입력값 인터페이스 타입 지정 export interface NewOptionDetailType { id: string; name: string; option_id: string; price: string | number; } 2. input 입력값 전역상태 선언 menuOptionDetail: { id: '', name: '', option_id: '', price: '', }, menuOptionD..
·TIL
전역 상태 즉각 업데이트에서 문제를 겪었다가 짧은 코드인데, 나중에 또 까먹을 때 활용하기 좋아 기록한다. zustand나 useState가 즉시 업데이트되지 않는 이유는 React의 업데이트는 비동기적으로 처리되기 때문이다. useState 함수 호출은 컴포넌트의 상태를 변경하는 것을 예약(reserving)하는데, 이 예약된 상태 변경은 나중에 React가 업데이트를 수행할 때 일어난다. React는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여러 상태 변경을 일괄 처리하고, 일괄 처리된 결과를 화면에 반영한다. 이 과정에서 비동기 처리가 사용되며, 업데이트는 다음 렌더링 사이클에서 반영된다고 한다. setMenuOptions([...menuOptions, { menu_id: addData[0].id }] as Menu..
·TIL
프로젝트에서 drag and drop으로 위치 교체를 할게 필요해서 직접 구현하게 됐는데 구현한지는 좀 됐는데 에러 수정을 하면서 정리해두면 좋을거 같아 적는다 일단 버튼의 이벤트이다 dragStartHandler(e, idx)} onDragEnter={e => dragEnterHandler(e, idx)} onDragOver={handleDragOver} onDragLeave={handleDragLeave} onDragEnd={dropHandler} className={clsx(styles.draggable, { [styles.dragging]: isDragging, })} > 아래는 한번에 이벤트들이다. setIsDraging state는 드래그 될 때마다 이벤트를 인식해서 클래스를 줘서 뭐가 바뀌고..
·TIL
중간발표 이후에 QA가 필요한거 같아 일단 내 눈에 보이는 것들을 한번 정리해볼려고한다. 로그인시 엔터로 로그인 안되는거 꼭 필요한건 아닌데 엔터로 늘 하던 버릇이 있어서 안되는게 조금 답답하게 느껴짐 메뉴 관리에서 메뉴 없음 뜨고 깜빡하고 메뉴 뜨는 에러 메뉴 없음이 디폴트 값이라 그런거 같은데 확인해봐야할거같음 메뉴 관리 없음 뜨고 메뉴가 있다면 카테고리가 선택 안됨 이부분도 코드를 한번 확인해봐야할 듯함 메뉴 등록, 옵션 등록에서 체크박스가 노출 default값 false 불편 기본값은 false 더라도 프론트에서 노출하는걸로 미리 check 하는게 좋을거 같다는 생각. 아니면 default를 true로 바꾸는 것도 생각해보면 좋을듯하다 메뉴 옵션 추가 디자인과 같게 이 부분은 코드 수정이 필요한데..
·TIL
모달창에서 입력폼이 있는데, 추가로 옵션이라는 항목이 생기게 됐다. 기존엔 모든 옵션들이 입력하고 확인하면 끝나는데 이 옵션값은 한단계 더 들어가야하기에 생각할게 많았다. 그 모달에서 저장이 바로 되도 안되고, 확인 후 이전 모달에서 저장된 값이 보이고 그 후에 모든 내용이 저장되야 했다. 기술적 어려움보다 로직을 생각하기가 어려웠다. 일단 기존의 추가되있을 수 있던 옵션들이나 1번 모달에서 삭제할 수 있는 로직을 짰다 // 옵션 삭제시 필터링 const removerOptionHandler = () => { const missingInMenuOptions = origineMenuOptions.filter(item => menuOptions.some(menu => menu.menu_id === item...
·TIL
// useMutation const uploadImageMutate = useMutation({ mutationFn: uploadMenuItemImage, onSuccess: () => { queryClient.invalidateQueries({ queryKey: [QUERY_KEY.MENU_CATEGORY_WITH_ITEM] }); }, }); return uploadImageMutate //mutationFn export const uploadMenuItemImage = async (uploadMenuItem: UploadMenuItemType) => { // 기존 storage 이미지 삭제 const { data: list } = await supabase.storage .from('images'..
·TIL
개요 기존 query와 zustand 둘 다 익숙치 않아서 조금은 직관적인 zustand로만 작업을 이어왔다. 기능 개발이 어느정도 마무리되고 리팩토링하면서 코드개선에 들어갔다. import { addCategory, removeCategory, updateCategoryName } from '@/server/api/supabase/menu-category'; import { useMutation, useQueryClient } from '@tanstack/react-query'; const enum QUERY_KEY { MENU_CATEGORY = 'menu-category', } export const useSetCategories = () => { const queryClient = useQuery..
·TIL
zustand에서는 store함수안에 state와 action을 같이 사용한다. import { create } from 'zustand'; interface countType { number: number } const useCountStore = create(set => ({ number: 0, plusNumber: (value) => set((state) => ({ number: state.number + value })) miunsNumber: (value) => set((state) => ({ number: state.number - value })) } export default useCountStore 이런식으로 하나의 store안에 state와 action을 선언한다. 단점은 코드가 길어지..
흑인간쥐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2 Page)